맨위로가기

아마미 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미 군도는 일본 가고시마현에 속하는 섬들로, 총 면적은 약 1,240km²이며, 최고봉은 아마미오섬의 유완다케(694m)이다. 아열대 기후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온화하며, 5월, 6월, 9월에 강수량이 많고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아마미오섬, 기카이섬, 도쿠노섬 등 8개의 주요 섬과 여러 무인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0년 인구는 약 10만 명이었다. 2021년 아마미오섬과 도쿠노섬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지역 중심지는 아마미시이며, 아마미어라는 고유의 언어와 시마우타라는 민요, 류큐 문화와 유사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미 제도 - 아마미오시마
    아마미오시마는 류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 열도 일곱 번째 섬으로, 류큐 왕국과 일본의 지배, 미국 점령을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며, 아마미토끼 등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고, 농업, 어업, 관광에 기반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오시마 츠무기가 유명하다.
  • 아마미 제도 - 요론섬
    요론섬은 아마미 제도 최남단에 위치한 산호섬으로,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지배를 거쳐 가고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오키나와 문화 유사성을 특징으로 관광과 농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아마미오시마
    아마미오시마는 류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 열도 일곱 번째 섬으로, 류큐 왕국과 일본의 지배, 미국 점령을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며, 아마미토끼 등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고, 농업, 어업, 관광에 기반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오시마 츠무기가 유명하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사쓰난 제도
    사쓰난 제도는 규슈 남부 해상에 위치한 오스미 제도, 토카라 제도, 아마미 제도를 포함하는 섬들의 총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야쿠시마와 우주센터가 있는 타네가시마 등 다양한 섬들이 독특한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영향을 받고 미군 군정기를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나, 아열대 기후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교통 불편과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 일본의 군도 - 이즈 제도
    이즈 제도는 혼슈 이즈 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화산섬들로, 9개의 유인도와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활화산과 다양한 해안 지형, 유배지 역사, 도쿄도 관할, 어업·농업·관광업 중심의 산업, 그리고 후지하코네이즈 국립공원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 일본의 군도 - 사쓰난 제도
    사쓰난 제도는 규슈 남부 해상에 위치한 오스미 제도, 토카라 제도, 아마미 제도를 포함하는 섬들의 총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야쿠시마와 우주센터가 있는 타네가시마 등 다양한 섬들이 독특한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영향을 받고 미군 군정기를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나, 아열대 기후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교통 불편과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아마미 군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마미 군도
원어 명칭奄美群島 (일본어)
Amami-guntō (로마자 표기)
아마미 군도 (한국어)
다른 이름奄美諸島 (일본어)
Amami-shotō (로마자 표기)
위치태평양
군도사쓰난 제도
총 섬 수56개
주요 섬아마미오 섬
도쿠노 섬
오키노에라부 섬
가케로마 섬
기카이 섬
요론 섬
면적1231.47 km²
최고점유완다케
높이694 m
국가일본
행정 구역가고시마현
시정촌아마미시
오시마군
야마토촌
우켄촌
세토우치정
다쓰고정
기카이정
도쿠노시마정
아마기정
이센정
와도마리정
지나정
요론정
최대 도시아마미시
최대 도시 인구42,235명
인구104,346명
인구 밀도84.7명/km²
언어일본어
류큐어(아마미 방언 등)
역사
아마미쿠아마미쿠
기타
시간대일본 표준시
UTC 오프셋+9
공식 웹사이트가고시마현 아마미 군도 정보
추가 정보2019년 3월 30일 시행된 아마미 군도 진흥 개발 특별 조치법 적용 지역

2. 지리

아마미 군도는 산호 기원의 석회암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면적은 약 1240.28km2이다. 이 중 아마미시가 308.3km2, 오시마군이 931.9km2를 차지한다.[11] 군도 전체의 인구는 2010년 기준으로 104,346명이다.[11] 행정 구역은 1시 9정 2촌으로 구성된다(아마미시, 오시마군 야마토촌, 우켄촌, 세토우치정, 류큐정, 키카이정, 토쿠노시마정, 아마미정, 이센정, 와타쿠정, 치나정, 요론정).[11]

지리적으로 가고시마시에서 아마미오시마까지는 약 370km 떨어져 있으며, 군도의 북동쪽 끝인 아마미오시마에서 남서쪽 끝인 요론섬까지는 약 200km에 달한다. 요론섬에서 오키나와섬의 헤도미사키까지는 약 25km 거리이다.[11] 최고봉은 아마미오시마에 있는 由仁岳|유완다케일본어로, 높이는 694m이다.

기후는 고온 다습한 아열대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이며, 연평균 기온은 21°C 전후, 연 강수량은 약 3000mm 전후로 일본 내에서도 온난하고 비가 많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11] 강수량은 연중 높지만, 특히 5월, 6월, 9월에 집중된다. 이 지역은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지형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아마미오시마에서 도쿠노섬 북동부에 이르는 지역은 중생대 이전의 지층과 화성암으로 이루어져 지세가 험준하고 해안선이 복잡하다. 반면, 기카이섬, 도쿠노섬 남서부, 오키노에라부섬, 요론섬 등은 산호초에서 유래한 류큐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지형이 비교적 평탄하고 하천 발달이 미약하다.[11]

생물지리구 분류상 아마미 군도는 토카라 열도를 지나는 와타세선 남쪽에 위치하여 동양구의 북쪽 끝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생물상은 규슈 본토보다는 오키나와현과 더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11] 이러한 독특한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2017년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이 지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아마미오시마와 도쿠노시마가 오키나와섬 북부 및 이리오모테섬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1. 주요 섬

사진섬 이름일본어 표기면적 (km²)인구 (명)최고 해발고도 (m)최고봉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일본어712.35km273,000[11]694유완가쿠 (湯湾岳일본어)
기카이섬喜界島일본어56.93km26,628[11]214.0
가케로마섬加計呂麻島일본어77.39km21,600[11]314
요로시마섬与路島일본어9.35km2140[11]297다이쇼잔 (大勝山일본어)
우케지마請島일본어13.35km2200[11]400오야마 (大山일본어)
도쿠노섬徳之島일본어247.77km221,824[11]645이노가와가쿠 (井之川岳일본어)
오키노에라부섬沖永良部島일본어93.63km211,994[11]246.0오야마 (大山일본어)
요론섬与論島일본어20.8km25,119[11]98
에다테쿠섬*枝手久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스코모섬*須子茂離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에니야바나레섬*江仁屋離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유바나레섬*夕離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기야마섬*木山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이오토리섬*硫黄鳥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한먀섬*ハンミャ島일본어align="right" |0align="right" |



\* 표시는 무인도를 의미한다. 인구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이다.[11]

참고로, 도쿠노섬 서쪽 65km 지점에 위치한 이오토리섬(오키나와현 시마지리군 구메지마정 소속)은 일본 국토지리원에서는 아마미 군도에 포함하지 않지만, 해상보안청이 작성한 수로도지에서는 아마미 군도로 분류하기도 한다.[16]

3. 역사

아마미 군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된다. 약 6000년 전부터 섬 주민들은 토기를 사용했으며, 이는 규슈조몬 문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일본 본토와 유사한 양식이었으나 점차 '우스키 하층 양식'이라는 고유한 형태로 발전했다.[3] 일본 문헌에는 7세기 후반부터 아마미에 대한 기록이 등장하며,[3] 견당사 파견 경로로 이용되기도 했다. 이 시기를 현지에서는 아마미 시대(아만유)라고 부른다.

12세기경 농업이 도입되면서 사회 구조가 변화하여 '아지'라는 지배 계층이 등장하고 '구스쿠'라는 성곽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하는 아지 시대(아진유)가 시작되었다. 이후 아마미의 아지들은 점차 오키나와섬산잔 시대 왕조 및 통일된 류큐 왕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 류큐 왕국은 15세기 중반까지 아마미 군도 대부분을 지배했으며, 이 시기를 류큐의 주요 항구 이름을 따 나하 시대(나한세)라고 칭한다.[4][5]

1609년, 규슈 남부의 강력한 세력이었던 사쓰마번이 류큐 왕국을 침략하면서 아마미 군도는 사쓰마 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6] 사쓰마 번은 아마미 군도를 직접 통치하며 높은 세금을 부과했고, 특히 사탕수수 단일 경작 강요는 주민들의 생활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 시기 아마미 고유의 민요와 문화가 발전하기도 했다. 1871년 메이지 유신 이후 아마미 군도는 가고시마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1945년)까지의 이 시기를 야마토 시대(야마툰유)라고 부른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아마미 군도는 일본 본토에서 분리되어 미국의 군정 하에 놓였다. 미국은 이 지역을 '북류큐 제도'로 칭했으나, 주민들은 일본으로의 복귀를 강력히 요구하는 아마미 반환 운동을 전개했다. 결국 1953년 12월 25일, 아마미 군도는 일본에 반환되었다. 이 미국 통치 시기를 미국 시대(아메리카요)라고 한다.

일본 반환 이후 정부는 지역 개발을 위한 특별 조치법을 시행했으나, 여전히 본토와의 경제적 격차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2001년에는 아마미오시마 해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3. 1. 아마미 시대 (선사 시대)

섬 주민들은 약 6000년 전부터 토기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는 규슈조몬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일본 본토의 토기 양식과 비슷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스키 하층 양식'이라고 불리는 아마미 지역만의 독특한 토기 양식이 발달했다.[3]

일본의 역사 기록에서 아마미 군도에 대한 언급은 7세기 후반부터 나타난다.[3] 일본서기에는 657년에 海見嶋|아마미시마일본어("아마미섬")가, 682년에는 阿麻弥人|아마미비토일본어("아마미 사람들")가 언급되어 있다. 이후 속일본기에는 699년에 菴美|아마미일본어, 714년에는 奄美|아마미일본어라는 지명이 등장하는데, 이들 모두 오늘날의 아마미 군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0번째 견당사(일본이 당나라에 파견한 사절)는 아마미오섬을 거쳐 중국으로 향했던 기록이 있다.

현지 주민들은 이 선사 시대를 奄美世|아마미 세(아만유)일본어라고 부른다.

3. 2. 아지 시대 (12세기 ~ 15세기)

12세기경 아마미 군도에 농업이 전래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방식은 수렵 채집에서 농경 중심으로 변화하였다.[1] 이는 오키나와섬과 유사하게 '아지'라고 불리는 지배 계층의 등장으로 이어졌으며, 이들은 '구스쿠'라고 불리는 성곽을 거점으로 삼았다.[1] 대표적인 구스쿠로는 가사리의 베루 성, 아마미의 아마미 구스쿠, 와도마리의 요노누시 성 등이 있다.[1] 세력을 키운 아지들은 영토 확장을 위해 서로 경쟁하고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1]

지역 전승에 따르면, 1185년 단노우라 전투에서 패배한 헤이케 일족의 일부가 아마미오시마로 피신했다고 전해지나, 이 이야기의 역사적 사실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1] 이 구스쿠 시대는 때때로 按司世|아진유일본어(아지 시대)라고 불린다.[2]

3. 3. 나하 시대 (15세기 ~ 17세기)

아마미의 아지(按司, 지방 통치자)들은 자치권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 강대국에 조공을 바쳐야 했다. 류큐 기록에 따르면, 아마미 아지들은 산잔 시대 오키나와 국왕인 영조(英祖)에게 조공을 바쳤다. 오키노에라부섬과 요론섬은 북산의 지배하에 있었다. 하지만 당시 오키나와섬은 내전으로 혼란스러워 북부 아마미 제도까지 통제하지는 못했다. 토쿠노섬과 그 북쪽 섬들의 아지들은 류큐 왕국에 조공을 바치면서도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1429년 상해가 오키나와섬을 통일하고 류큐 왕국을 세운 이후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1430년대와 1440년대에 걸쳐 류큐는 아마미 제도로 세력을 확장했다.[4] 1450년까지 류큐군은 토카라 제도 깊숙이 진출하여 가이섬을 제외한 모든 섬을 정복했으며, 가이섬마저 1466년에 정복했다.[5] 1493년 일본의 사쓰마번이 아마미오섬을 침략하려 했으나, 류큐에 의해 격퇴되었다.[4] 16세기 들어 아마미오섬에서는 류큐의 지배에 저항하는 반란이 세 차례(1536년, 1537년, 1571년) 발생했으나 모두 류큐에 의해 진압되었다.[4]

이 시기는 류큐의 주요 항구였던 나하의 이름을 따 那覇世|나한세일본어라고 불린다.

3. 4. 야마토 시대 (17세기 ~ 1945년)

1944년 10월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작성한 섬 침공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담긴 지도


류큐 왕국의 직접 통치는 170여 년간 지속되었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명나라와의 무역이 번성하자, 규슈 남부의 사쓰마 번 지배자 시마즈 다다쓰네일본중국 사이의 해상 교통로 장악을 위해 류큐 왕국 침략을 결정했다. 1609년 4월, 시마즈 군대는 류큐 왕국을 침략하여 아마미오시마에 상륙한 뒤, 도쿠노시마, 오키노에라부섬, 그리고 오키나와 본섬까지 진격했다. 사쓰마는 류큐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결국 수리성을 함락시키고 류큐를 정복했다.[6]

1611년, 류큐 왕국은 아마미 군도를 사쓰마 번에 할양했다. 사쓰마 번은 1613년부터 다이칸(代官)을 파견하여 이 섬들을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명목상으로는 여전히 류큐 영토로 간주되어 류큐 왕국 출신 관료들도 파견되었다. 사쓰마 번의 아마미 제도 지배는 1624년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초기에 사쓰마 번의 통치는 비교적 온화했으나, 번의 재정 상태가 악화되면서 점차 착취적으로 변모했다. 사쓰마 번은 설탕으로 납부하는 높은 세금을 부과했으며, 이로 인해 사탕수수 단일 경작이 강요되어 섬 주민들은 심각한 기근에 자주 시달렸다.

이 시기 아마미 사람들은 사탕수수로 만든 술과 류큐에서 들여온 아와모리(泡盛)를 즐겼으며, 산신(三線)을 연주하며 민요를 불렀다. 그들의 민요는 류큐의 것과는 다른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아마미 문화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 또한 사쓰마 번의 지배하에 아마미 사람들의 이름 체계에도 큰 변화가 있었고, 오늘날 그들은 독특한 한자 성씨를 갖게 되었다.

1871년 메이지 유신 이후 아마미 제도는 오스미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가고시마현 소속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아마미 제도가 직접적인 침공을 받지는 않았으나, 소규모 공습을 겪었으며 2만 명이 넘는 일본군 병력이 주둔했다.

1945년까지 이어지는 이 시기를 아마미에서는 '''야마토 시대'''(大和時代|야마툰유일본어)라고 부른다.

3. 5. 미국 시대 (1945년 ~ 1953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한 후, 아마미 제도는 미국의 직접적인 군사 통치하에 놓였다. 미국의 공식 문서에서는 아마미 제도를 '북류큐 제도'(Northern Ryukyu Islands영어)로 지칭했는데, 일본 정부는 이를 미국이 아마미 제도를 일본 영토에서 영구히 분리하려는 의도로 해석하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점령 당국에 아마미 제도가 가고시마현의 일부임을 강조했다.

1946년 2월, 아마미 제도는 공식적으로 일본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같은 해 10월, 지역 지도자들이 중심이 되어 臨時北部南西諸島政庁|린지 호쿠부 난세이 쇼토 세이초일본어(임시 북부 남서 제도 정청)을 설립했다. 이 기구는 1950년에는 奄美群島政府|아마미 군토 세이후일본어(아마미 군도 정부)로 개칭했다. 그러나 민주 선거를 통해 주민들은 일본으로의 복귀를 공약한 지사를 선출했는데, 이는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야에야마 제도 등 다른 류큐 제도 지역에서도 나타난 현상이었다. 미국 민정부(USCAR)는 이러한 움직임에 당황하여 지역 정부의 권한을 형식적인 수준으로 축소시켰다. 1952년에는 미국 민정부가 직접 임명한 인사들로 류큐 정부를 구성하여 통치를 강화했다.

아마미 주민들 사이에서는 미국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 특히 일본 본토와의 경제적 단절은 아마미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미군정 당국이 공공 자금을 전쟁 피해가 극심했던 오키나와와 미군 기지 건설에 집중하면서 아마미 지역은 소외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분리 직후부터 시작된 아마미 반환 운동은 점차 거세졌다. 1947년 결성된 아마미 공산당 역시 일본 복귀를 강력히 주장했다. 당시 14세 이상 주민의 99.8%가 일본 복귀를 요구하는 서명에 참여할 정도로 열망이 높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방식에 영향을 받아 단식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1952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따라 아마미 제도는 류큐 제도의 일부로서 미국의 신탁 통치 아래 놓이게 되었다. 미국은 주민들의 강력한 반환 요구에 부딪혀 1952년 2월 토카라 제도를 일본에 반환한 데 이어, 1953년 12월 25일 아마미 제도를 반환했다. 당시 미국 정부는 이를 "일본에 대한 크리스마스 선물"이라고 표현했지만, 이는 아마미 주민들의 끈질긴 반환 운동의 결과였다.

이 시기를 아마미에서는 アメリカ世|아메리카요일본어(미국 시대)라고 부른다.

3. 6. 일본 반환 이후 (1953년 ~ 현재)

1953년 아마미 제도는 일본에 반환되었으나, 오키나와는 1972년까지 미국의 통치 아래에 있었다. 이로 인해 당시 오키나와에서 일하던 아마미 주민들은 갑자기 외국인 취급을 받으며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 정부는 아마미 제도 진흥 개발 특별 조치법을 공포하여 지역 개발을 추진했다. 하지만 일본 본토와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 법은 섬의 기반 시설 개선에는 기여했지만, 관료적인 사업 추진 방식으로 인해 불필요한 자연 파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2001년에는 아마미오시마 해전이 발생하여 북한 공작선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간의 총격전이 벌어졌고, 일본 측이 승리했다.

4. 인구

2020년 10월 1일 기준으로 아마미 군도의 인구는 104,281명이었다. 이 중 아마미시奄美市|아마미시일본어에는 41,390명, 오시마군大島郡|오시마군일본어에는 62,891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5. 문화

류큐 문화권의 일부인 아마미 문화는 일본 본토보다는 다른 류큐 제도의 문화와 더 가깝지만, 오키나와와는 다른 독자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사키시마 제도를 포함한 오키나와가 중국으로부터 강한 문화적 영향을 받은 반면, 아마미는 일본 본토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이 때문에 아마미 주민들은 스스로의 문화를 오키나와 문화와는 별개의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카이섬, 아마미오시마, 도쿠노시마 사이의 지역을 고유한 문화권으로 인식한다.

가고시마현오스미 제도 이북 지역과 비교하면 아마미 군도의 문화는 오키나와현에 더 가깝고, 같은 류큐 문화권에 속한다. 아마미오시마에서 요론섬에 이르기까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류큐 문화의 색채가 짙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오키나와에서 불과 22km 떨어진 요론섬 주민들은 오키나와와 훨씬 더 강한 문화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마미 군도에 전해지는 풍습 중에는 오키나와현이나 일본 본토와는 다른 아마미 고유의 것들도 많으며, 일부는 오키나와현보다 오히려 본토에 더 가까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팔월춤과 같은 전통 춤이나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연간 전통 행사(여름 정월의 아라세쓰, 시바사시, 돈가 등)는 류큐 왕국이나 사쓰마의 문화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특징을 지닌다.

아마미 군도의 식문화, 즉 아마미 요리는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오키나와 요리나 사쓰마 요리와 공통점이 많다. 대표적인 향토 요리로는 닭고기 덮밥( 鶏飯|게이한일본어 ), 기름 소면( 油そうめん|아부라소멘일본어 ), 소철 된장을 사용한 지두 된장 등이 있다. 또한 아마미 흑설탕 소주, 미키, 가자콩( がじゃ豆|가자마메일본어 ) 등이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다.

5. 1. 언어

아마미 군도 대부분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아마미어가 사용된다. 아마미어는 언어학적으로 류큐어의 북류큐어군에 속하며, 섬이나 지역마다 방언 차이가 크다. 주요 하위 방언으로는 기카이섬 방언, 아마미오시마 북부 방언, 아마미오시마 남부 방언, 도쿠노시마 방언 등이 있다. 다만 남쪽에 위치한 오키노에라부섬요론섬의 방언은 오키나와섬 북부를 중심으로 하는 쿠니가미어에 속한다.

류큐어는 일본어족에 속하여 일본어와 같은 계통이지만, 류큐어 방언 간 및 일본어와의 상호 이해도는 낮다. 또한 아마미어에는 옛 야마토고토바의 발음 등이 남아있다는 특징이 있다.

메이지 시대에 도입된 교육 제도의 영향으로 오늘날 모든 아마미 주민들은 표준 일본어를 구사한다. 그러나 60세 미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공통어로서 전통적인 아마미어 어휘나 표현이 섞인 일본어 방언, 즉 신방언이 사용된다. 현지에서는 이를 トン普通語|톤 후츠고일본어(직역: 감자 표준어)라고 부른다. 이 신방언은 표준어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가고시마현의 사쓰마 오스미 방언(가고시마 방언) 및 간사이 방언의 영향을 받았으며, 오키나와현의 신방언인 우치나야마토구치(오키나와 방언)와는 구별된다. 아마미 군도에서는 섬마다 이러한 신방언이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5. 2. 음악

아마미 군도의 향토 민요는 시마우타(''시마우타'', 島唄|시마우타일본어)라고 불린다. 일본어에서 ''시마''(島)는 일반적으로 "섬"을 의미하지만, 아마미에서는 "자신들이 사는 공동체"를 의미하는 뉘앙스가 강하다. 따라서 ''시마우타''는 문자 그대로 "공동체의 노래"로 해석될 수 있다. ''시마우타''를 부르는 사람은 ''우타샤''(唄者|우타샤일본어, 직역: "가수")라고 불린다. 일부 ''우타샤''는 팝 음악 분야에서도 활동하는데, 하시메 치토세, 아타리 코우스케, 릭키, 안나 사토 등이 대표적이다.

''시마우타''라는 용어는 본래 아마미 민요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오키나와 민요에도 사용되면서 그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 특히 일본 록 밴드 더 붐이 1992년에 발표한 히트곡 시마우타가 오키나와 풍의 선율을 차용하면서 용어 사용에 혼란을 더했다는 시각이 있다. 반면, 1992년 이전에도 오키나와 민요를 지칭할 때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아마미 민요는 오키나와 민요와 음계 구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아마미 민요와 오키나와 민요의 음계 비교
구분음계 구성 (예시)음정 간격 (반음 단위)특징
아마미 민요C, D, E, G, A2-2-3-2-3무헤미토닉 음계 (반음 없음, 그리스 펜타토닉과 동일)
오키나와 민요Ab, C, Db, Eb, G4-1-2-4-1헤미토닉 펜타토닉 음계 (반음 포함)



아마미 민요 가수들은 노래를 부를 때 특유의 팔세토 창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주에는 주로 삼현과 치진(북의 일종)이 사용된다.

5. 3. 종교

각 지역 사회에는 류큐 신앙의 토착 종교를 위한 여러 개의 우타키 신사와 일본 정부가 세운 신사가 있다. 불교 사찰은 일본 본토에 비해 흔하지 않다. 오키나와와 마찬가지로, ''노로''라고 불리는 여사제들이 있으며, 사람들은 토착 종교적 규범에 따라 예배를 드린다.

류큐식 무덤에는 집 모양, 거북이 모양, 동굴 모양의 세 가지 스타일이 있다. 아마미 군도의 대부분의 무덤은 집 모양 스타일을 사용하는데, 이는 거북이 모양 스타일이 더 흔한 오키나와와는 다른 점이다. 그러나 약 400년 전에 건설된 "시로마 토후루" 무덤과 같이 거북이 모양 스타일을 사용하는 무덤도 존재한다.

5. 4. 씨름

아마미 군도에서는 원래 서로 껴안고 기술을 거는 방식인 組み相撲|쿠미즈모jpn로 분류되는 島相撲|시마지마jpn(섬 씨름)가 씨름의 주류였다. 하지만 1800년대 전반에는 이미 상대방과 떨어져 맞붙어 손 기술의 공방을 벌이며 기술을 거는 立合い相撲|타치아이즈모jpn 방식, 즉 현재의 일본 씨름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사쓰마번의 번사였던 名越 左源太|나고에 사겐타jpn(1818년 ~ 1881년)가 저술한 南島雑話|남섬잡화jpn에 기록되어 있다.[17]

6. 정치


  • 가고시마현 의회: 아마미시 지역구(의석수 2)와 오시마군 지역구(의석수 2)에서 의원을 선출한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가고시마현 제2구에 속하며, 선출된 의원은 미타조노 사토시(무소속)이다.

7. 사회

아마미 군도의 지역 중심지는 아마미오시마( 奄美大島일본어 )에 위치한 아마미시( 奄美市일본어 )이다.

7. 1. 번호판

2014년 11월 17일부터 아마미 군도 전역을 대상으로 자동차와 이륜자동차에 대한 奄美|아마미일본어라는 지역 번호판의 발급이 시작되었다.

7. 2. 교육

아마미 군도에는 대학, 단기대학과 같은 고등교육 기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마미오섬에서는 2004년부터 가고시마대학 법문학부 대학원이 아마미시 중앙시민회관 가네쿠 지역 분관 3층에 위성 강의실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18] 가고시마대학 대학원에서 교수가 파견되어 집중 강의 형식(일부는 인터넷 중계 영상)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대학 졸업자라면 수강생으로 등록하여 가고시마대학 대학원의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쿠노시마에서도 2007년부터 위성 강의실이 개설되어 도쿠노시마정 가메즈의 평생학습센터에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초기에는 아마미오섬에서 인터넷 중계 영상으로 진행되는 수업이 많았으나, 2008년부터는 도쿠노시마에서 개설되는 수업이 증가했다(어느 섬에서 개설될지는 과목별 수강생 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2008년부터 문부과학성의 보조금이 중단되면서 위성 강의실에서 수강 가능한 과목 수가 크게 줄었다. 과목은 "아마미에 뿌리내린 강좌"가 제시되며, 수강생 대부분이 각 섬의 사회인이기 때문에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이 활발하고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 위성 강의실을 통해 가고시마대학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도 있다(2006년 기준 3명).

과거에는 1891년부터 1894년까지 가고시마 사범학교 교원 양성 강습과 분교장이 설치되었던 적이 있으며, 미군 점령 통치 시기인 1952년부터 1953년까지는 류큐대학 아마미오섬 분교가 있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학할 수 있는 전문학교로는 아마미시 나세에 아마미 간호복지전문학교와 아마미 정보처리전문학교가 있다.

7. 3. 미디어

아마미 군도에는 대학교나 전문대학이 없으며, 2004년부터 가고시마 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과가 아마미시(奄美市일본어)에 분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시작했다.

중계기를 통해 텔레비전과 AM 방송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FM 방송의 경우 NHK-FM 중계기는 설치되어 있으나, 가고시마현(鹿児島県일본어)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에프엠가고시마는 중계국을 설치하지 않았다.[20] 대신 다음과 같은 커뮤니티 방송 FM 라디오 방송국들이 운영된다.

방송국 이름서비스 지역비고
아마미에프엠 디!웨이브아마미시, 야마토촌
세토우치라디오방송[19]세토우치정
에프엠다쓰고우타쓰고우정
에프엠우켄우켄촌



지역 신문으로는 남해일일신문(南海日日新聞일본어)과 아마미 신문(奄美新聞일본어) 두 곳이 있다. 전국지(全国紙일본어)나 서일본 신문(西日本新聞일본어)과 같은 블록지(ブロック紙일본어)도 구독할 수 있으나, 본토(가고시마시(鹿児島市일본어), 후쿠오카시(福岡市일본어), 키타큐슈시(北九州市일본어) 등)에서 항공편이나 선박으로 운송해야 하므로 배달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조간 신문이 당일 오후나 저녁, 심하면 다음 날 아침에 배달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정으로 산케이 신문(産経新聞일본어)[21]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가고시마현 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番組表일본어)를 발행일 당일과 다음 날(신문 휴간일((新聞休刊日일본어)에는 그 다음 날까지) 분량을 함께 게재한다. 또한 오키나와현(沖縄県일본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지역이 있어, 남일본신문(南日本新聞일본어) 조간에는 오키나와 3개 방송국의 다음 날 프로그램표가 실리기도 한다(아마미 지역 신문에도 게재됨).

참조

[1] 웹사이트 『奄美群島』を決定地名に採用 http://www.gsi.go.jp[...] Geospatial Information Agency of Japan 2011-11-23
[2] 웹사이트 『奄美群島』を決定地名に採用 http://www.gsi.go.jp[...] Geospatial Information Agency of Japan 2011-11-23
[3] 웹사이트 History Overview of Amami http://www.city.amam[...] 2013-03-20
[4] 뉴스 Examining the Myth of Ryukyuan Pacifism http://apjjf.org/-Gr[...] The Asia-Pacific Journal 2010-09-13
[5] 서적 The Samurai Capture a King: Okinawa 1609 Osprey Publishing
[6] 서적 The Samurai Capture a King: Okinawa 1609 Osprey Publishing
[7] 웹사이트 奄美群島(あまみぐんとう)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3-25
[8] 웹사이트 奄美群島の現状・課題及び これまでの奄振事業の成果について https://www.pref.kag[...] 鹿児島県 2020-04-21
[9] 웹사이트 奄美群島振興開発特別措置法(昭和二十九年法律第百八十九号) https://laws.e-gov.g[...] e-Gov 2019-03-30
[10] 웹사이트 気づかなかった魅力も満載「奄美群島時々新聞」発行 https://ritokei.com/[...] 離島経済新聞社 2020-04-21
[11] 웹사이트 平成26年度奄美群島の概況 https://www.pref.kag[...] 鹿児島県 2015-08-24
[12] 간행물 我が国の広域な地名及びその範囲についての調査研究 http://www1.kaiho.ml[...] 海上保安庁海洋情報部
[13] 법률 奄美群島復興特別措置法 1954
[14] 웹사이트 『奄美群島』を決定地名に採用 http://www.gsi.go.jp[...] 国土地理院 2010-02-19
[15] 웹사이트 気象警報・注意報や天気予報の発表区域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1-16
[16] 학술지 南西諸島の地域名称の歴史的および政治的背景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09
[17] 잡지 大相撲ジャーナル NHK G-Media 2019-03
[18] 웹사이트 奄美サテライト教室 http://www.leh.kagos[...] 鹿児島大学法文学部 2018-07-29
[19] 문서 에프엠 세토우치 폐국 및 세토라지 개국
[20] 웹사이트 에프엠 다쓰고 방송표 http://img01.amamin.[...]
[21] 문서 산케이 신문 큐슈·야마구치판 방송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